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반대로 사업이 부진하여 매출세액보다 매입세액이 많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이런 경우 부가세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부가세 환급이 발생하는 경우, 관할 세무서에서는 과세기간에 대한 환급세액을 사업자에게 지급하여 줍니다.
이때 일반적인 부가가치세 환급신청 보다 조금 더 신속하게 환급하여 줌으로써, 비용 지출이 많은 사업자의 자금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가 있는데요. 바로 ‘부가가치세 조기환급’입니다. 물론 부가가치세 조기환급 제도는 모든 사업장이 대상이 되는 건 아닙니다.
사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인테리어 공사비용 및 시설 관련 비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요. 판매 목적이 아닌 설비투자 목적으로 취득한 자산이라면 조기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조기 환급과 관련하여 유의할 점은 사용목적이 아닌 판매 목적으로 구입한 자산이라면, 설비투자자산이 아닌 일반 매입에 해당하여 재고자산으로 보아 조기환급 대상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외에도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면 조기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① 사업자가 영세율(수출)을 적용받는 경우
② 사업자가 사업 설비를 신설·취득·확장 또는 증축하는 경우
③ 사업자가 재무구조개선 계획을 이행 중인 경우
모두 사업자의 자금 부담을 줄여준다는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면 얼마나 신속하게 환급이 이뤄질까요?
일반적인 부가가치세 환급 세액은 신고기한 후 30일 이내에 환급되지만, 조기 환급의 경우 신고기한 후 15일 이내 신속하게 환급됩니다.
부가가치세 조기 환급은 일반 부가가치세 신고처럼 법인사업자는 3개월에 한번, 개인사업자는 6개월에 한 번만 진행할 수 있을까요?
부가가치세 조기 환급은 매월 또는 매 2월마다 신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월에 매입 건이 발생 시 2월 25일까지 신고(매 1월) 하여 조기 환급을 받을 수도 있고 2월분과 3월분을 4월 25일까지 신고(매 2월)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정기 신고 기간에도 가능합니다.
부가가치세 조기환급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따로 있을까요?
부가가치세 일반 신고와 동일하게 진행하지만 조기 환급을 받으려면 케이스 별로 해당 서류를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① 영세율을 적용받는 경우: 영세율 관련 첨부 서류
② 사업 설비투자의 경우: 건물 등 감가상각자산 취득 명세서
③ 재무구조개선 계획을 이행 중인 경우: 재무구조개선 계획서
부가가치세 조기환급 신고 시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환급 세액이 클 경우에는 세무서에서 계약 내용이나 실제 대금 지급 내용을 요청할 수 있어 증빙자료를 미리 준비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경영상 일반 환급 기한까지 기다리기 어렵거나, 회사의 자금 확보가 필요하다면 부가가치세 조기 환급을 신청 제도를 활용해보세요.
 
					 
				 
								 
								
							 공유링크 복사
                                    공유링크 복사
                                    
                                     인쇄하기
                                    인쇄하기
                                 HOMEPAGE
					HOMEPAGE
				 CONTACT US
					CONTACT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