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급명세서는 언제 제출해야 하나요?
들어가며 지급명세서는 1년 동안 지급한 인건비 중 근로소득, 일용근로소득, 사업소득, 퇴직소득 등 소득별로 집계한 내역이며, 사업자는 지급명세서를 작성하여 국세청에 제출할 의무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사업자가 직원에게 근로소득/퇴직소득 또는 프리랜서에게 사업소득을 지급하였다면 국세청에 그 지급한 내역을 제출하여야 합니다. 만약 제출기한 내에 제출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가산세가…
일반세무|2025.10.28
-
비상장주식 평가 시 자기주식,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
기업회계기준에 따르면, 기업이 자기지분상품을 재취득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지분상품(이하, “자기주식”)은 자본에서 차감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자기주식은 보유 목적과 관계없이 자산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취득원가를 기준으로 자본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회계처리합니다. 그러나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세법”)상 비상장주식 평가에서는 자기주식의 보유목적(소각·처분 등)에 따라 반영 방식이 달라집니다.
Valuation|2025.10.21
-
부동산 장기 임대 시 부가가치세 및 수익 인식 처리
사업자가 부동산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때 해당 거래가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 공급시기 및 과세표준은 어떻게 판단할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계약기간이 길고 임대료를 선불로 받는 경우에는 세무상 수익 인식 시점 및 부가가치세 신고 납부 시점이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임대차계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산세·종합부동산세…
부가세|2025.10.21
-
영업권이 무엇인가요?
회사가 성장하다 보면 다른 회사의 사업을 인수하게 되는 상황에 직면할 때가 있으며, 이때 사업결합에 대한 회계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영업권이라는 계정과목을 접하게 된다. 사업결합 시 발생하는 영업권이란 정확히 무엇이며, 재무상태표에 계상되는 영업권 금액은 어떻게 산정되는 것일까? 영업권이란? 영업권의…
재무제표|2025.10.14
-
1,200억 투자받아 570만 원 남긴 논란의 정육각_재무제표 분석
1. 초신선 전략으로 주목받다.
정육각은 2016년 카이스트 출신 창업자가 설립한 신선식품 스타트업입니다. 창업자는 제주도에서 맛본 ‘갓 도축한 고기’ 경험을 계기로, 기존의 냉장 유통과 차별화된 “도축 후 4일 이내 배송”이라는 초신선 콘셉트를 내세웠습니다. 2016년 초창기에는 돼지고기를 중심으로 판매하기 시작했지만, 2018년부터 닭고기·소고기·달걀· 우유 등으로 품목을 확장했습니다. 당시 경쟁사인…
기업분석|2025.10.13
-
세금계산서를 잘못 발행하였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들어가며 세금계산서는 사업자가 재화나 용역을 공급할 때 반드시 교부해야 하는 중요한 세무 증빙입니다. 그러나 세금계산서의 내용을 잘못 기재하거나 거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때 단순히 기존 세금계산서를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정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수정세금계산서는 잘못 기재되었거나 거래 조건이 변동된 경우에 이를 정정하기 위해…
일반세무|2025.10.10
-
데이터로 본 당근마켓: 하이퍼로컬을 넘어선 ‘광고 플랫폼’의 진화와 미래🥕
1. 당근의 10년, 생활 속 플랫폼으로 자리 잡다. 2015년 설립된 당근은 이제 단순한 중고거래 앱을 넘어, ‘로컬 플랫폼’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당근하다”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쓰일 정도로, 생활 속 필요와 취향이 모이는 장터가 된 셈입니다. 본 칼럼에서는 혁신의 숲 데이터와 감사보고서 분석을 통해 당근의 숨겨진 성장 동력과…
기업분석|2025.09.23
-
사업 실적이 없더라도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야 하나요?
인터넷쇼핑몰을 운영하는 개인사업자 A는 사업 부진으로 당분간 매출, 매입 거래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A는 매출, 매입 거래가 없더라도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는 말 그대로 해당 과세기간 동안 매출이나 매입이…
일반세무|2025.09.23
-
근로자 승계시 고용 관련 세액공제 주의할 점
근로자 승계시 고용 관련 세액공제 주의할 점 고용증대세액공제, 중소기업사회보험료세액공제, 통합고용세액공제 등은 조세특례제한법상 기업이직전 과세연도 대비 상시근로자를 증가시킨 경우 그 증가 인원에 대해 일정 금액을 세액에서 공제해주는 제도이다. 이는 기업의 고용 확대를 유도하여 실업 완화와 노동시장 활성화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세제혜택|202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