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주식을 샀는데 왜 취득세를 내야 하나요? 취득세? 취득세란 말 그대로 무언가를 ‘취득’ 할 때 내는 지방세입니다. 유상, 무상에 관계없이 취득세 과세대상이 되는 자산을 취득하면 납부해야 하며, 취득세 과세대상은 대표적으로 부동산이 있으며, 그 외 차량이나 각종 회원권 등이 있습니다. 취득가액에 비례하여 납부해야 하므로 아무래도 취득가액이 큰 부동산이 가장 주요한 취득세 납부대상 자산이 됩니다. 지분거래|2024.08.07
-
우리회사 유상증자 가액도 세무상 시가가 될 수 있을까? 비상장주식 시가는 세무상 늘 논란이 되는 단골 이슈 중 하나이다. 상장주식처럼 공개된 시장에서 빈번한 거래를 통해 “시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가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그것이 또 세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거래를 하는 당사자로서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친인척 혹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임직원 등과… 지분거래|2024.07.29
-
비상장주식의 양도할 때 대주주인지 확인이 필요한 이유 비상장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차익에 대해서 양도소득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양도소득세율은일괄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중소기업 여부 그리고 대주주 여부에 따라 10% ~ 30%까지의 범위에서 적용됩니다. 비상장주식 양도 시 대주주와 중소기업 여부를 검토하지 않고 잘못된 세율을 적용하여 차후 가산세를 부담하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꼭 세율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 비상장주식 양도세율 구분… 지분거래|2023.07.24
-
세무상 비상장주식가치 평가, 궁금했던 세 가지 사항 본 칼럼은 2025년 8월 22일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구주 매각, 코파운더간의 지분율 정리 등 스타트업에게 있어서 비상장주식 거래는 빈번하고 흔한 거래이지만, 한편으로는 다양한 이슈가 존재하는 거래이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스타트업 주식 거래와 관련된 이슈의 중심에는 “주식의 시가”가 있습니다. 상장주식과는 달리 거래가 빈번하지 않은 비상장주식인 스타트업… 지분거래|2023.04.24
-
사례로 살펴보는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본 칼럼은 2025년 8월 22일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비상장법인에서는 주식변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투자유치도 없고, 이해관계자들이 복잡하지 않아 대표자가 100% 지분을 쭉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은 상황이 다릅니다. 필연적으로 투자유치를 통해 새로운 주주가 합류하고, 여러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해 주식의 변동도 자주 발생합니다. 주식변동이… 지분거래|2023.02.20
-
자사주 매입을 고려할 때 알아야 할 회계, 세무이슈 스타트업 입장에서 자사주 매입은 흔하게 발생하는 이벤트는 분명 아닙니다. 그러나 특정주주의 EXIT, RSU나 스톡옵션 활용, 기타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자사주 매입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흔하지 않은 이벤트인 마음만큼 이와 관련된 이슈를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요한 포인트는 알고 갈 필요가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 자사주 취득, 자기주식 취득 등은 모두 동일한… 지분거래|2023.02.01
-
자사주 매입은 주주 입장에서 배당일까 양도소득일까?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해당 회사에 매각하는 행위, 즉 회사의 자기주식 매입은 주주의 입장에서 자산거래인 ‘주식의 양도’에 해당하는지 또는 자본거래인 ‘주식의 소각 내지 자본의 환급’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개인이 부담하게 되는 소득세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만약 해당 거래가 주식의 양수도거래로 간주되는 경우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며, 비상장주식의 대주주(지분율 4% 이상)의 경우 27.5% (지방소득세… 지분거래|2023.01.31
-
EXIT에 성공한 창업자, 양도소득세를 미루고 싶다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벤처기업에의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조세특례제한법(이하, “조특법”)상 출자자에게 소득공제, 양도소득세 비과세 등의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나, 해당 규정은 창업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고생해서 키운 내 회사, EXIT으로 대박났으니 그 정도는 감수할 수 있다면 문제없으나, 혹시라도 양도소득세를 이연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된다면, 주식매각 후 벤처기업등 재투자에 대한 과세특례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지분거래|2022.06.28
-
올해 상여금은 우리회사 주식?! 최근 몇 년간 주식시장의 열풍을 반영하듯 자사주를 임직원 보상수단으로 사용하는 회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작년부터 임직원에 대한 새로운 보상프로그램으로 매년 1천여원 상당의 자사주를 전직원에게 지급하기로 결정했으며, 카카오나 SK텔레콤 같은 회사도 상당한 규모의 자사주 처분을 통해서 임직원 보상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임직원에게 무상으로 지급하는 인센티브 제도는 “스톡그랜트(… 지분거래|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