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인수계약이 취소되었는데도 양도세를 내야 하나요? 창업자가 M&A를 통해 자신의 지분을 양도하는 경우, 계약 조건에 따라 추후 인수 계약이 해제되거나 인수 대금을 반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이미 양도 시점이 한참 지난 후에 그런 상황이 발생했다면, 이미 낸 양도소득세를 돌려받을 수 있을까? 1. 계약 해제조건이 발생하여 지분인수 계약 자체를 무효화하는 경우 매매계약이… 투자 및 EXIT|2024.11.27
- 적격합병 요건 Q&A – 고용승계 상법에 따른 합병은 둘 이상의 회사가 전부 또는 일부를 해산하여 청산절차 없이 신설 또는 존속회사에 승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세무상으로는 1) 피합병법인이 합병법인에게 피합병법인의 자산과 부채를 양도하며, 2) 합병법인이 피합병법인에게 합병대가를 지급하고, 3) 피합병법인은 합병법인으로부터 받은 합병대가를 피합병법인 주주에게 지급하고 피합병법인 주주로부터 구주를 반환받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종전 피합병법인의 주주는 합병법인의… 투자 및 EXIT|2024.10.02
- 적격합병 요건 Q&A – 지분의 연속성 상법에 따른 합병은 둘 이상의 회사가 전부 또는 일부를 해산하여 청산절차 없이 신설 또는 존속회사에 승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세무상으로는 1) 피합병법인이 합병법인에게 피합병법인의 자산과 부채를 양도하며, 2) 합병법인이 피합병법인에게 합병대가를 지급하고, 3) 피합병법인은 합병법인으로부터 받은 합병대가를 피합병법인 주주에게 지급하고 피합병법인 주주로부터 구주를 반환받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종전 피합병법인의 주주는 합병법인의… 투자 및 EXIT|2024.08.27
- 적격합병 요건 Q&A – 사업의 계속성 상법에 따른 합병은 둘 이상의 회사가 전부 또는 일부를 해산하여 청산절차 없이 신설 또는 존속회사에 승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세무상으로는 1) 피합병법인이 합병법인에게 피합병법인의 자산과 부채를 양도하며, 2) 합병법인이 피합병법인에게 합병대가를 지급하고, 3) 피합병법인은 합병법인으로부터 받은 합병대가를 피합병법인 주주에게 지급하고 피합병법인 주주로부터 구주를 반환받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종전 피합병법인의 주주는 합병법인의… 투자 및 EXIT|2024.07.31
- 사례로 보는 M&A – 사모펀드의 역전할머니맥주 인수 아래 기사에 의하면, 지난해 5월에 역전할머니맥주를 운영하는 회사인 역전에프앤씨를 국내 사모펀드가 인수했습니다. 후속 보도자료에 의하면, 인수대금은 약 1,500억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 참고 – 케이스톤파트너스, 생맥주 프랜차이즈 ‘역전할머니맥주’ 인수 이러한 뉴스를 보면 아마도 “사모펀드가 왜 이 회사를 샀을까?” “가격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등이 궁금해질 것입니다. 거래당사자가 아니고서야 이러한 궁금증을… 투자 및 EXIT|2023.12.29
- 엑시트 후 재투자를 통한 양도소득세 이연 혜택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성공적인 엑시트를 하면 그에 따른 높은 양도소득세(비상장 대주주의 경우 양도차익의 20%~25%)에 놀라시곤 합니다. 만약 매각 금액을 다른 벤처기업 등에 재투자 하는 경우에는 이 양도소득세를 이연 할 수 있는 과세특례가 있습니다(이하 ‘재투자 과세특례’). 양도차익의 약25%에 해당하는 양도소득세 납부를 미루고 재투자 재원으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은 물론 스타트업… 투자 및 EXIT|2023.09.20
- 투자자 입장에서 보는 주요 재무KPI의 의미 기업활동에서 투자의 유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나 스타트업과 같이 성장기에 있는 기업일수록 그 중요성은 절대적일 것입니다. 성공적인 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어떤 것을 원하는지를 이해하여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재무적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및 각 KPI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투자 및 EXIT|2023.05.22
- 합병, 그냥 하면 되는 거 아니에요? 기업합병(Merger) 은 금융비지니스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하고 화려한 이벤트이지만 그만큼 많은 법률/회계/세무 이슈를 동반할 수밖에 없는 매우 어렵고 복잡한 이벤트이기도 합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회사지만 여러 개의 법인으로 나누어 운영하던 법인을 합치려는 형식적 합병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제3의 법인과 실질적 합병을 검토하는 경우도 있죠. 많은 경영진이 “합병”이 무엇인지는… 투자 및 EXIT|2023.03.09
- 주주에게 적격합병이 필요한 이유 고금리 추세로 투자가 침체된 요즘이지만, 저평가된 동종 기업을 찾아 합병을 통해 사업 규모를 키우기 위한 움직임은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습니다. EXIT을 원하는 주주 입장에서는 합병 또한 좋은 EXIT 전략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적격합병”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적격합병 세법상 합병은 적격합병과 비적격… 투자 및 EXIT|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