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개인사업자에게 투자한 돈, 못 돌려받는다면 비용 처리해도 될까 스타트업은 주로 투자를 받는 대상이지만, 때로는 공동으로 개인 브랜드에 투자한다거나, 법인의 명의로 지인의 사업장에 투자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모든 투자가 그렇듯 좋은 성과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생각처럼 사업이 잘 되지 않을 때 투자금을 못 돌려받는 것이 아닐까 머리가 아프기 시작합니다. 개인사업자에게 투자하게 되면 먼저 개인사업자에게 투자하는 것은… 법인세|2022.04.04
-
실패없는 재고 관리를 위해 스타트업이 알아야 할 것 커머스업을 하는 회사에서, 재고라는 개념은 말 그대로 ‘혈액’과 같습니다. 사람 몸 속 혈액에 문제가 생겨 발생할 수 있는 병은 대부분 심각한 케이스가 많듯이, 재고가 필수적인 비즈니스 모델에서 관리 시스템이 잘 갖춰지지 않는다면 당장은 아니어도 언젠가는 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재고 관리를 떠올렸을 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경영관리|2022.03.28
-
자기주식 사용설명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세계정세가 시끄러운 요즘 주식 시장도 요동치고 있는데요. 이러한 변동성 장세 속에 유통과 게임, 증권사 등 상장사들이 자사주 매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기사들이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지난달 100주의 자사주를 취득한다고 발표하였고,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한화솔루션 역시 각각 50만, 63만, 60만의 자사주를 매입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지분거래|2022.03.28
-
현금흐름표,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 3월 결산 시기입니다. 작년 한 해의 경영 성과는 어떠셨는지요? 자체 회계팀이 있는 스타트업이라면 회계팀을 통해,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세무대리인을 통해 결산 결과를 보고받게 됩니다. 아마 대다수의 스타트업은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혹시, 투자자가 ‘현금흐름표’를 요구하지는 않나요? 현금흐름표는 무엇이고 투자자들은 거기서 어떤 것들을… 재무제표|2022.03.21
-
배당이 아닌데도 배당으로 의제되는 주의해야 할 거래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무심코 행한 거래에서 생각지도 못한 거액의 세금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스타트업들은 아직 손실을 내고 있는 경우가 많아 법인세를 내지 않는 곳이 많은데요. 이에 따라 거래를 함에 있어서 세무 이슈 검토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어떤 거래들은 법인이 아닌 그 주주에게 과세가 발생하므로 스타트업이라 하더라도 주의를… 일반세무|2022.03.21
-
베트남 외국인계약자세, 이중과세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 국내 스타트업에서는 해외 투자, 특히 디지털 컨텐츠에 친숙한 MZ세대 비중이 높아 플랫폼 사업에 최적화된 지역이라는 점에서 동남아 진출을 눈여겨볼 만합니다. 모바일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시장이 발달하고 있고 IT 분야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다수의 개발자가 있다는 점 등이 동남아를 스타트업을 위한 투자처로 자리매김하게 한 핵심 배경으로 꼽힙니다. 세제지원 측면에서는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세제혜택|2022.03.14
-
갈등과 이슈의 중심 ‘주주구성’ 주주구성만큼 갈등과 이슈가 많은 영역도 없습니다. 특히 창업팀의 지분율 이슈(창업팀 구성원의 퇴사 포함), 투자유치 시 주주구성 이슈는 스타트업의 단골 메뉴입니다. 정답이 없는 영역이지만 좋은 가이드라인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 대표와 핵심 창업자의 지분 대표 및 핵심 창업자(대표와 동등한 역량과 책임 보유한 사실상의 공동대표)의 지분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우선,… 지분거래|2022.03.14
-
중소기업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알고 받자 스타트업 법인세 신고시 세트처럼 들어가는 세액공제 적용 항목 중 고용증대세액공제와 중소기업사회보험료세액공제가 있습니다. 고용증대세액공제의 경우 증가인원 1인당 최대 1,200만원(21년의 경우 1,300만원)의 공제가 가능하여 대부분의 법인에서 잘 알고 적용하고 있으나, 중소기업사회보험료공제의 경우 잘 몰라 적용받지 못하거나, 내용은 자세히 모르고 고용증대세액공제에서 계산한 상시근로자 수만 그대로 사용하여 적용받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여, 본… 세제혜택|2022.03.07
-
한국 국세청이 싱가포르 법인에게 법인세를 과세할 수 있을까요? 최근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싱가포르에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많이 고려하고 있습니다. 해당 싱가포르 법인의 대표는 내국인이며, 지분율은 대표가 100%이며, 싱가포르 법인의 업무는 국내 법인의 임직원이 대부분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런 식으로 운영되는 싱가포르 법인을 한국 과세관청이 내국법인으로 보고 법인세를 과세할 수 있을까요? 법인세법 제2조에 따르면 “내국법인”이란 본점, 주사무소 또는 사업의… 블록체인|2022.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