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흑자도산,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유동성 확보’의 중요성 작년 2022년은 대부분의 사업가나 경영자들에게 참 드라마틱한 해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몇 년 동안 이어졌던 유동성 활황의 분위기가 급작스럽게 돌변, 미국발 금리 인상 등 여러 거시 경제의 변화로 인해 시장 내 불확실성이 끝없이 높아졌습니다. 연초만 해도 1,200원 수준이었던 USD 환율이 1,450원까지 치솟은 적도 있고, 대출 이자율이 끝도 없이 오르는 등, 여러모로… 경영관리|2023.01.02
-
별 생각 없이 무심코 하기 쉽지만 주의해야 하는 거래 스타트업은 재무담당자가 없거나 담당자가 있다 하더라도 경험 부족이나 과도한 업무부담으로 인하여 위험한 거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무심코 하기 쉽습니다. 거래를 하는 순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별 생각이 없다가 뒤늦게 문제가 되고 나서야 후회하면 이미 늦죠. 그럼 대체 어떤 거래를 조심해야 할까요? 생각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위험한 거래에 대해서… 경영관리|2022.12.26
-
마음대로 임원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는 이유 대표이사나 임원이 퇴직할 때 그 어떠한 제한 없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요? 각 세법에 따라 회사 입장에서, 그리고 퇴직하는 임원 입장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회사 입장에서는 정관에 임원 퇴직금에 대한 지급 규정이 정관에 기재되어 있거나 정관에서 위임된 퇴직금 지급 규정이 별도로 있다면, 해당 규정에 따라 지급한… 경영관리|2022.12.20
-
회사의 이익금을 챙겨가는 두가지 방법, 배당과 급여의 차이 회사의 경영이 어느 정도 안정화 되고 이익이 생기기 시작하면 대표자는 이 이익을 회수하기 위한 고민이 시작됩니다. 일반으로는 배당이나 급여 및 상여 등의 보수(이하 ‘급여’)로 이익을 회수합니다. 각 방법의 절차와 소득세 효과를 비교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1. 배당금 1) 배당금 지급 절차 배당은 대표자가 임의로 결정할… 경영관리|2022.12.12
-
재고 수량이 맞지 않으면 생기는 문제 재고 관리, 실무적으로 참 쉽지 않은 영역입니다. 다양한 품목과 수량을 실수 없이 관리하다 보니 꼼꼼하게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기본적으로 많죠. 또한 생산 발주부터 수입 통관 및 입고, 운송 및 보관 및 반품, 환불, 불량품 관리까지, 수많은 프로세스에 걸쳐져 있는 포괄적인 업무라 다양한 인력과 부서, 주체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경영관리|2022.12.06
-
재고자산 수불관리의 필요성 회계는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재무보고 목적뿐만 아니라 회사의 자산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한 업무입니다. 관리회계 측면에서 특히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항목은 재고자산입니다. 제조업, 도소매업 등 재화를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에서 체계적인 재고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영진이 우리 회사의 어떤 품목이 경쟁력 있는지, 마케팅비용을 더 쓰는 것이 유리한지, 오히려… 경영관리|2022.10.31
-
이익잉여금은 많을수록 좋은 것 아닌가요? 이익잉여금이란, 법인이 1년 동안 사업을 영위하고 난 뒤 정산해보았을 때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제한 당기순이익이 매년 누적된 금액을 의미합니다. 사업 초기의 스타트업의 경우 이익이 나기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사실상 결손금이 누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이익잉여금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업이 성장하여 이때까지 투입한 비용을 모두 충당하고도 남을 만큼 수익이 발생하였다는… 경영관리|2022.09.19
-
우리 회사 손익분기점 계산이 매번 틀리는 이유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비즈니스는 오래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비즈니스의 성장성 뿐 아니라 얼마만큼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여야 이익이 발생하기 시작하는지를 항상 궁금해합니다. 더 이상 손익분기점은 최신 개봉한 영화에서만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닌, 많은 분야의 기업들이 한 해의 일차 목표로 삼는 개념이 되었고, 이 시간에도 많은 CFO들이 손익분기점… 경영관리|2022.09.14
-
지분 인수 시 알아야 할 다섯 가지 스타트업은 지분을 인수하기 보다는 지분 인수의 대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나, 스케일업을 위해 지분을 인수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분 인수 경험이 부족하여, 지분을 인수하기로 결정은 했으나 어떤 이슈가 있는지, 무엇을 주의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죠. 이번 칼럼에서는 지분을 인수하는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이야기해… 경영관리|202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