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90%의 IPO 소프트웨어 회사에 개발비가 없는 이유 최근 떠오르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NFT, 사물인터넷, SaaS 등 고도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토대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시켜가는 스타트업이 늘고 있습니다. 자체 연구개발(R&D)부서를 설립하고 지속적인 인적/물적 투자에 집중하고 있죠. 이러한 노력은 타사와 차별화된 독자적 기술을 보유하여 시장에서 선도적 우위를 점하기 위함일 겁니다.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연구기술 투자를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세액공제 등 각종… 재무제표|2022.04.25
-
‘조인트벤처’는 정확히 무엇일까요 ? 스타트업들이 조인트벤처(Joint Venture)를 설립해서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조인트벤처(Joint Venture). 많이 들어는 봤는데 정확히 무엇일까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르면 ‘조인트벤처’는 둘 이상의 당사자가 공동지배의 대상이 되는 경제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만든 계약상 약정을 말합니다. 공동지배 조인트벤처에서 중요한 것은 ‘공동지배’ 여부입니다. 회계기준에 따른 공동지배의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무제표|2022.04.05
-
현금흐름표,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 3월 결산 시기입니다. 작년 한 해의 경영 성과는 어떠셨는지요? 자체 회계팀이 있는 스타트업이라면 회계팀을 통해,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세무대리인을 통해 결산 결과를 보고받게 됩니다. 아마 대다수의 스타트업은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혹시, 투자자가 ‘현금흐름표’를 요구하지는 않나요? 현금흐름표는 무엇이고 투자자들은 거기서 어떤 것들을… 재무제표|2022.03.21
-
매출 총액 순액의 회계 세무 이슈 총정리 매출을 총액으로 인식해도 되는지 아니면 순액으로 인식해야 하는지는 회계 세무의 전통적인 이슈이면서도 아직도 빈번하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이슈입니다. 이제는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임에도 아직까지 계속해서 이슈가 되는 이유는 그 판단 기준이 매우 모호하기 때문이죠. 총액과 순액 중 어떤 방법으로 우리 회사의 매출을 처리하는지는 회계, 법인세,… 재무제표|2022.02.21
-
개발비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 많은 스타트업의 재무제표에서 개발비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개발비는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의 개발 또는 개량을 위하여 지출한 금액을 자산(무형자산)으로 인식한 것으로서, 해당 개발과 관련된 직원의 인건비, 퇴직급여, 외주비용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개발비는 회계 논쟁이 매우 빈번한 항목으로, 스타트업은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자산과 비용… 재무제표|2021.11.23
-
동업 사업의 매출도 우리 회사 손익일까? 이제 막 시작하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들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구조의 사업 모델을 구상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사업 파트너와의 동업 형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트너가 우리 회사가 가지지 못한 포인트나,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는 핵심 역량(자금력, 기술력, 특허 보유 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업의 형태는 각자 반반씩 투자하는 방법도… 재무제표|2021.10.25
-
스타벅스코리아는 관계기업일까 종속기업일까 이마트가 스타벅스코리아(이하 ‘스벅코리아’)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여 지분율이 50%에서 67.5%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회계적으로 이마트 입장에서 스벅코리아가 ‘공동기업’에서 ‘종속기업’으로 변한 것입니다. 스벅코리아 사례를 통해 지분율과 힘에 따른 피투자회사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분율과 힘 회사가 다른 회사의 지분을 취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느 정도 ‘지분율’을 보유하는지에… 재무제표|2021.10.13
-
모르고 있다 발목 잡힐 수 있는 ‘회계 부채’들 빚지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세상에 없을 것입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회계에서 빚을 조금 어려운 말로 부채라고 부르는데, 처음 회계원리를 배울 때 ‘자산은 부채 더하기 자본’ 할 때 그 부채입니다.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회사들은 손익에 예민합니다. 부채는 보통 비용과 함께 회계 처리되기 때문에 회사의 이익을 줄입니다. 따라서 누구에게도 환영받지 못할 수밖에… 재무제표|2021.09.13
-
EBITDA와 영업 현금흐름의 차이 EBITDA는 주식과 기업가치를 이야기할때 아주 많이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IPO 공모와 M&A 거래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현금흐름 지표로 유명하죠. 이 개념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수백, 수천억을 넘어 수조원의 거래에도 적용되는 것일까요? EBITDA의 개념과 한계점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EBITDA의 정의 EBITDA는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비 차감… 재무제표|202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