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가상자산거래소는 고객이 맡긴 가상자산을 자산과 부채로 인식하고 있을까? 지난 연말에 가상자산 회계처리 관련하여 여러 세미나들이 열렸습니다. 가장 이슈가 된 것은 가상자산거래소가 고객이 예치한 가상자산을 거래소의 자산과 부채로 인식해야 하는지였습니다. 쉽게 말해,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재무제표에 고객이 맡긴 가상자산을 자산과 부채로 인식해야 하는가입니다. 1. 현재 가상자산거래소는 고객예치 가상자산을 재무제표에 자산과 부채로 인식하지 않고 있습니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블록체인|2023.01.09
-
결혼과 M&A 행복한 결혼생활과 성공적인 M&A 흔히 M&A를 ‘결혼’과 비유하곤 합니다. 수십 년 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란 남녀가 만나 서로를 이해하고 상호보완해 가면서 한 가정을 이뤄가는 과정이 마치 서로 다른 두 회사가 M&A를 통해서 하나의 회사가 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남녀가 만나서 사랑을 하고 결혼에 골인하여, 출산과 육아를… Deal|2023.01.05
-
끝을 알아야 하는 이유 창업자가 엑싯에 대해 미리 알아야 하는 이유 새해 첫날부터 끝을 이야기한다는 게 조금 이상하지만, 사실 끝은 또 다른 시작이기도 합니다. 끝(엑싯)을 경험한 창업자가 결코 많지 않기에 그 중요성도 알기 어렵습니다. 엑싯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정리했습니다. 끝을 알면 경영을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엑싯 성공 체크리스트가 있다고 가정하고,… Deal|2023.01.05
-
벤처기업에 투자하고 세금 혜택 받기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면 세금 혜택이 있다던데 정확히 어디에 투자를 해야 얼마의 혜택을 받는지, 어떤 절차로 혜택을 받는지는 검색을 해 보아도 어렵기만 합니다. 스타트업 경영자로서 투자를 유치할 때, 혹은 스타트업에 직접 투자를 진행하려고 할 때 꼭 알아야할 세금 혜택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1. 법인으로 투자: 법인세 세액공제 내국법인이… 세제혜택|2023.01.02
-
흑자도산,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유동성 확보’의 중요성 작년 2022년은 대부분의 사업가나 경영자들에게 참 드라마틱한 해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몇 년 동안 이어졌던 유동성 활황의 분위기가 급작스럽게 돌변, 미국발 금리 인상 등 여러 거시 경제의 변화로 인해 시장 내 불확실성이 끝없이 높아졌습니다. 연초만 해도 1,200원 수준이었던 USD 환율이 1,450원까지 치솟은 적도 있고, 대출 이자율이 끝도 없이 오르는 등, 여러모로… 경영관리|2023.01.02
-
2022년 M&A 시장 되돌아보기 금리인상 #얼어붙은_시장 #Adieu2022 ‘2022년에는 M&A 시장이 과연 얼마나 더 커질까?’라는 기대를 받고 시작한 한 해였습니다. 하지만 「재벌집 막내아들」의 ‘진도준’이었다면 다른 생각을 했겠죠. 오늘은 2022년을 마무리하면서 올해의 M&A 시장을 돌아보려고 합니다. 혹시 환생을 한다면 올해는 이렇게 기억하세요. 물이 빠져야만 알게 되는 것이 있죠. 미국 어느 호수에서 가뭄이 들자… Deal|2022.12.29
-
중소 M&A 시장의 사짜들 중소기업 M&A를 진행할 때 경계해야 하는 부분 중소기업 M&A 시장에는 생각보다 많은 사짜들이 있습니다. 왜 많은 사짜들이 존재하는지, 어떤 부분을 조심해야 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기업을 사고파는 과정에 큰 규모의 자금이 거래됩니다. 거래 규모가 크다 보면 자연스럽게 거래비용도 커지게 되고, 그 과정에 개입하면 생각보다 큰 보상을 받을… Deal|2022.12.29
-
왜 세금이 부과되는 손익은 우리회사 회계상 손익과 다를까? 연말이 다가오면 회사는 차기 연도 계획을 수립하는 반면 올 한 해에 대한 마무리도 소홀할 수 없습니다. 회사의 입장에서 한 해의 마무리라고 하면 결산과 법인세 신고를 빼놓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1월부터 12월까지를 한 사업연도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12월이 지나고 나면 2022년에 대한 결산에 돌입해야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23년… 법인세|2022.12.26
-
별 생각 없이 무심코 하기 쉽지만 주의해야 하는 거래 스타트업은 재무담당자가 없거나 담당자가 있다 하더라도 경험 부족이나 과도한 업무부담으로 인하여 위험한 거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무심코 하기 쉽습니다. 거래를 하는 순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별 생각이 없다가 뒤늦게 문제가 되고 나서야 후회하면 이미 늦죠. 그럼 대체 어떤 거래를 조심해야 할까요? 생각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위험한 거래에 대해서… 경영관리|20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