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지분에 대하여 오늘은 ‘지분’과 ‘주주’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지분(持分, equity)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유물에 대해서 각 공유자가 일정한 비율로 갖는 권리 또는 그 비율’ 주식(株式, stock)의 사전적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로서의 금액 및 이를 전제로 한 주주의 권리·의무’… 지분거래|2021.10.26
-
동업 사업의 매출도 우리 회사 손익일까? 이제 막 시작하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들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구조의 사업 모델을 구상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사업 파트너와의 동업 형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트너가 우리 회사가 가지지 못한 포인트나,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는 핵심 역량(자금력, 기술력, 특허 보유 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업의 형태는 각자 반반씩 투자하는 방법도… 재무제표|2021.10.25
-
경영진에게 재무제표보다 더 중요한 이것 오늘은 경영자 관점에서 회계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1. 궁금해. 다 궁금해 작든 크든 사업체를 경영하는 대표들은 궁금한 게 무척 많습니다. ‘이 가격 정도면 적당한 건가’ ‘인건비 수준이 이 정도면 적당한가’ ‘성과급은 얼마를 지급해야 하는 거지’ ‘경쟁사 대비 원가 경쟁력이 있는 건가’… 경영관리|2021.10.19
-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에 관하여 국제거래의 증가로 외국에 진출하거나 외국에서 소득이 발생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제거래에 대하여 외국에서 과세를 하는 경우 국내와 외국 양쪽에서 세금을 납부하는 이중과세 문제가 발생합니다. 우리나라는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를 운용하여 국제적 이중과세를 조정하고 있는데, 개념이 복잡하여 작은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외국납부세액공제의 개념부터 구체적인 계산 방법까지… 세제혜택|2021.10.18
-
스타트업 M&A 실사, 이것만 기억하자! 실사는 어떤 회사에 대해 잘 알고 싶은 특정인의 요청으로 이루어지고, 실사 업무를 가장 많이 의뢰하는 주체는 ‘잠재투자자’입니다. 실사를 통해 피투자회사(이하에서는 ‘스타트업’)가 제시한 주요 정보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회사에 대한 이해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실사를 받는 스타트업의 상황 실사 업무는 ‘회계법인’이 잠재투자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진행하게 되며,… 실사 및 감사|2021.10.14
-
거래에 대한 이해(feat.부가가치세) 초기 스타트업의 대표들이 가장 난감해 하는 부분이 ‘거래의 구조’입니다. 거래 자체도 복합한데, 생소한 부가가치세(이하 ‘부가세’)가 엮여 있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거래는 부가세가 함께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며, 따라서 사업 초기에 가장 중요한 세금이라고 감히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부가세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가세|2021.10.13
-
스타벅스코리아는 관계기업일까 종속기업일까 이마트가 스타벅스코리아(이하 ‘스벅코리아’)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여 지분율이 50%에서 67.5%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회계적으로 이마트 입장에서 스벅코리아가 ‘공동기업’에서 ‘종속기업’으로 변한 것입니다. 스벅코리아 사례를 통해 지분율과 힘에 따른 피투자회사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분율과 힘 회사가 다른 회사의 지분을 취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느 정도 ‘지분율’을 보유하는지에… 재무제표|2021.10.13
-
이상적인 CFO의 5가지 조건 기업의 재무를 총괄하는 CFO는 모든 기업에 필요합니다. 물론 필요한 시기가 각자 다르지만,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라면 ‘언젠가는’ 반드시 필요하죠. 언젠가는 반드시 필요할 CFO이기에 이상적인 CFO가 갖추어야 할 5가지 조건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업재무와 회계에 대한 이해 가장 중요한 본업이기에 당연히 중요한 조건입니다. 다만, 모두가 이 능력이 중요하고 필요한… 경영관리|2021.10.06
-
김 대표와 박 이사는 특수관계인일까? 세법상 특수관계인은 세목별로 그 범위가 다릅니다. 따라서 각 세목별로 특수관계인의 범위를 확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세무상 리스크를 검토해 봐야 합니다. 오늘은 김 대표와 박 이사의 사례를 통해 세목별 특수관계인의 적용 여부를 확인해 보고 발생할 수 있는 세무리스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례2019.04.12. 박 이사는 비상장법인인 ㈜홍길동이 발행한 주식… 일반세무|202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