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회원권 증여 및 양도 시 고려해야 할 세무 이슈 자녀에게 회원권을 증여하거나 양도할 때는 시가의 판단, 거래 형식에 따른 세 부담 등 다양한 세무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회원권은 특정 시설물 이용권에 해당하는 재산으로 평가 방식과 세금 부과 기준이 일반 자산과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칼럼에서는 최초 취득가액이 4천만원이었던 회원권의 시가가 1억원으로 상승한 경우를 가정하여 회원권의… 일반세무|2025.05.09
-
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할 때 주주가 증여세를 내는 경우가 있나요? 결론부터 말하면, 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할 때 해당 회사의 주주가 증여세를 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 주주가 증여세를 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상속세및증여세법(이하 “상증법”)의 관련 규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의제란? 상증법은 지배주주와 그 친족(이하 “지배주주등”)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30%… 일반세무|2025.05.08
-
무형자산에도 자본적지출이 있나요? 기업 간에 기술 이전 계약을 맺을 때, 특허 전용실시권에 대한 대가를 도입료를 먼저 지급하고, 이후 단계별 개발 마일스톤에 따라 추가 금액을 지급하는 구조가 흔히 사용된다. K-IFRS에서는 보통 기업이 무형자산(특허권, 라이선스 등)을 사올 때 지급하는 가격에는, 그 무형자산이 앞으로 만들어 낼 미래의 이익에 대한 기대가 이미… 재무제표|2025.05.02
-
해외 비상장법인 주식은 세무상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시장에서 빈번하게 거래되기 때문에 비교적 시가 확인이 용이한 상장주식과 달리 비상장주식은 거래가 발생하는 빈도수가 낮으며, 거래가격이 거래 당사자가 아니면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이라 할 수 있는 매매사례가액이 확인되지 않는 비상장주식의 경우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보충적 평가방법에 따라서… 지분거래|2025.03.31
-
우리 회사에는 어떤 주식보상제도가 어울릴까? 최근 많은 기업들이 자사의 주식을 활용한 다양한 보상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이제는 꽤 익숙한 스톡옵션뿐만 아니라 2020년 한화그룹의 RSU 도입을 시작으로 네이버의 스톡그랜트, SK텔레콤의 PSU 등 다양한 주식보상제도가 확산되고 있다. 본 칼럼에서는 주식보상제도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주식보상제도의 종류… 스톡옵션|2025.03.24
-
완전자회사를 합병할 때의 세제 혜택과 실무적 고려사항 합병은 상법에 따라 두 개 이상의 회사가 하나로 합쳐지는 법적 절차로 피합병법인의 권리의무가 합병법인에 포괄적으로 승계됩니다. 이때 순자산을 양도하고 소멸되는 피합병법인은 양도손익에 대한 법인세 문제가, 순자산을 취득하는 합병법인은 합병매수차손익에 대한 법인세 문제가, 구주를 반납하고 대가를 받는 피합병법인의 주주는 의제배당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 등의 과세 이슈가 발생할 수… 세제혜택|2025.03.11
-
RCPS와 달리 CPS는 Refixing 조항이 있더라도 자본으로 분류 가능한 이유 1. RCPS vs CPS: 핵심 차이는 “상환권” RCPS(상환전환우선주)와 CPS(전환우선주)는 모두 우선주의 한 형태로, 주로 스타트업이 투자금을 유치할 때 사용된다. 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상환권(Redemption Right)의 유무이다. RCPS는 투자자에게 상환 옵션을 부여해 투자금을 회수하도록 보장한다. 상환권이 있기에 안전한 투자환경을 제공하지만, K-IFRS에서는 부채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재무제표|2025.03.04
-
한강 작가의 노벨상 상금은 비과세? 상금의 과세와 기타소득의 이해 2024년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는 약 14억원에 달하는 상금에도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습니다. 노벨상 상금은 다른 상금과는 달리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로 소득세법 상 기타소득 비과세 항목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금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이 부과되므로 상금의 과세 방식과 세법을 이해하는… 일반세무|2025.02.18
-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운용수익과 예치금 이용료는 어떻게 회계처리하나요?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성장하면서 관련 법적 규제가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2024년 7월 19일부터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의 시행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소는 가상자산 거래소 잔고에 예탁된 이용자의 예치금을 운용한 대가로 예치금이용료를 이용자에게 지급할 의무가 발생하였다. 기존에는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운용을 통해 발생한 수익은 모두 가상자산 거래소에게… 블록체인|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