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임원 퇴직금, 그 오해와 진실 한 치 앞도 모르는 사업의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법, 그게 대표이든 다른 임원이든 누군가 언젠가는 퇴사를 할 수 있습니다. 직원들의 퇴직금만 챙겨주느라 잊고 살고 있던 임원들의 퇴직금에 대한 복잡한 이야기를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임원 퇴직금은 법적으로 보장되지 않는다 직원의 퇴직금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라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기… 경영관리|2021.08.04
- 사이닝보너스와 리텐션보너스 사이닝보너스(signing bonus) 또는 사인온 보너스(sign-on bonus)는 회사에서 새로 합류하는 직원에게 주는 1회성 인센티브입니다. 사이닝보너스를 받은 직원은 대체로 몇년간은 다른 회사로 이직할 수 없고 약정된 의무 재직기간을 근무하지 못할 경우 반환하는 방식을 적용합니다. 스타트업에서도 전문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사이닝보너스를 지급하기도 합니다. 관련된 세무·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사의 회계처리… 경영관리|2021.07.29
- 원장 경영, 디테일의 중요성 꼭 큰 그림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경영에도 세밀한 디테일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그 디테일 중 ‘원장’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원장’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제가 이야기하는 원장은 병원이나 학원의 그분들이 아닙니다.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가장 세밀한 단위 자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거래 하나하나의 기록이… 경영관리|2021.07.27
- 받자 마자 팔 수 있는 ‘스톡그랜트’ 지난 4월 네이버는 3년간 매년 1000만 원 상당의 네이버 주식을 임원을 제외한 전 직원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하는 ‘스톡그랜트(Stock Grant)’를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스톡옵션보다는 생소한 스톡그랜트. 네이버의 사례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톡그랜트,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가 아닌 주식을 ‘주는 것’ 임직원들에게 주식으로 보상을 해주는 스톡옵션(Stock Option)과 스톡그랜트의 차이에… 경영관리|2021.07.08
- 스타트업, 언제쯤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을까 사업 초기부터 이익이 발생하고 승승장구하는 스타트업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창업 초기 손실을 겪은 후, 어느 순간 이익이 발생해 만성적인 자금 부족에서 벗어나 투자자들이 알아서 찾아오는 단계에 이르기를 기대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언제쯤 온다는 이 ‘어느 순간’을 예측할 수는 없을까요? 1. 손익분기점 달성 매출 계산하기 고정비와 변동비… 경영관리|2021.06.30
- 사업 자금이 필요할 때 사업을 하려면 돈이 필요합니다. 사업 자금 마련하는 것을 유식하게 ‘자본조달’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자본조달의 방법과 중요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요약하면, 1) 인맥을 활용하는 것, 2) 경쟁 심리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3F를 아시나요? 조금 가볍게 시작해 보겠습니다. Family, Friends, Fool의 3F입니다. 좀 철없어 보이지만… 경영관리|2021.06.29
- 임원 상여금을 마음대로 지급하면 안 되는 이유 상여금은 성과급이라고도 하며, 기업에서 직원에게 임금 외에 지급하는 현금 급여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사 교섭에 따라 결정되며, 강제성으로 지급해야 하는 임금이 아니므로 지급 여부는 당사자에게 달려 있지만, 지급되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상의 임금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보통 임금에 관한 규정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법인세법에서는 이러한 상여금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두어 그 지급을 인정하지… 경영관리|2021.06.15
- 가수금 출자전환시 고려할 사항 스타트업은 설립 초기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임원 또는 주주로부터 자금을 입금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 경우 임원∙주주로부터 입금 받은 금액은 재무제표상 부채에 해당하는 ‘가수금’으로 처리하는데, 가수금이 누적되면 부채비율 증가로 인해 신용도가 하락하고 세무당국의 탈세 의혹(매출 누락을 의심)으로 인해 세무조사 가능성이 증가하는 등 리스크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영관리|2021.05.26
- 스타트업 경영에 도움이 되는 재무비율 스타트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각 이해관계자들마다 각각의 노하우가 있을 겁니다. 여러 방법들 중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재무비율을 분석하는 것으로, 회사의 재무상태를 이해하는 가장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죠. 스타트업의 경영자로서 우리회사의 재무비율을 이해하고 파악하여 재무목표를 설정해 나아가면 경영에 있어 조금 더 전문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재무비율은 크게 안정성, 수익성,… 경영관리|202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