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s
마일스톤은 전문지식과 경험을 기록하고 정리하고 공유합니다.
-
외부감사 대상과 감사인 선임, 회계감사 진행과정 본 칼럼은 2025년 4월 11일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회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는 법적으로 외부감사대상에 해당하면 반드시 수감해야 하는 법정감사와, 법적으로 요구되지는 않으나 회사나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는 임의감사가 있습니다. 본 토픽에서는 외부감사 대상, 감사인 선임 등과 관련된 규정과 회계감사가 진행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실사 및 감사|2022.09.26
-
주식 증여 후 상장하면 또 증여세를 내나요? 현재 상장을 준비 중인 회사의 최대주주가 자녀에게 주식의 증여를 계획하고 있다면 상장으로 얻는 시세차익에 대한 증여세 과세 여부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최대주주로부터 그의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증여 받으면 증여세가 과세되는데, 해당 증여일로부터 5년 이내에 회사가 상장하면서 주식 가치가 증가하여 일정 금액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그 이익도 증여로 보아 추가로 과세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세무|2022.09.26
-
자본잠식을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 기업의 적자가 누적되어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지는 상황을 자본잠식이라고 합니다. 쉽게 설명해, 원래 투자 금액을 까먹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자본잠식은 기업의 재무구조에 대해 큰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경영자, 주주, 잠재투자자, 채권자 모두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해 많은 스타트업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산 vs 비용 자본잠식은 회계의… 재무제표|2022.09.26
-
쇼킹한 어도비의 피그마 인수 28조 원 밸류에이션의 이유 어도비(Adobe)가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피그마(Figma)를 28조 원에 인수한다는 기사로 떠들썩했습니다. 28조 원의 밸류에이션이 단연 이슈의 중심이었습니다. 피그마의 22년 예상 매출이 약 5,000억 원이고 매출액(영업이익 아님)의 50배를 초과하는 밸류에이션이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는 어도비가 너무 비싸게 샀다는 여론이 강합니다. 인수 발표 이후 어도비의 17%… Deal|2022.09.22
-
경기불황, M&A시장은 축소되지만 팔릴 매물은 팔린다. 향후 M&A시장에 대한 2가지 시선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로 경기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었지만,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긴축 정책, 인플레이션 등으로 대내외 경기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하반기 M&A시장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데요. 경기침체로 인해 시장이 대폭 축소될 것이라는 의견과 시장 분위기가… Deal|2022.09.22
-
이익잉여금은 많을수록 좋은 것 아닌가요? 이익잉여금이란, 법인이 1년 동안 사업을 영위하고 난 뒤 정산해보았을 때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제한 당기순이익이 매년 누적된 금액을 의미합니다. 사업 초기의 스타트업의 경우 이익이 나기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사실상 결손금이 누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이익잉여금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업이 성장하여 이때까지 투입한 비용을 모두 충당하고도 남을 만큼 수익이 발생하였다는… 경영관리|2022.09.19
-
간절한 사람만 남더라구요 장사의 신이 후참 매각에 성공한 이유 장사의 신, 후참(후라이드 참 잘하는 집)으로 유명한 은현장씨가 그의 첫 유튜브 영상에서 이야기 한 프랜차이즈 성공 이유입니다. 후참을 시작하고 장사가 잘 되자 수많은 프랜차이즈 문의가 있었다고 합니다. 사실 은현장씨 뿐만 아니라 제법 장사가 잘 되는 가게들은 이렇게 프랜차이즈 제안을 많이 받습니다. 그들… Deal|2022.09.15
-
엑싯 밸류와 투자 밸류의 현격한 차이 밸류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상황과 전제 기업가치를 의미하는 밸류는 1) 주식매각과 2) 투자유치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주식을 얼마 밸류로 매각했다” 혹은 “얼마 밸류로 투자 받았다”라는 식으로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동일한 표현이지만 경영진의 의도와 상황에 따라 현격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경영진이 직접 회사를 성장시키겠다는 전략이 전제된… Deal|2022.09.15
-
우리 회사 손익분기점 계산이 매번 틀리는 이유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비즈니스는 오래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비즈니스의 성장성 뿐 아니라 얼마만큼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여야 이익이 발생하기 시작하는지를 항상 궁금해합니다. 더 이상 손익분기점은 최신 개봉한 영화에서만 볼 수 있는 개념이 아닌, 많은 분야의 기업들이 한 해의 일차 목표로 삼는 개념이 되었고, 이 시간에도 많은 CFO들이 손익분기점… 경영관리|2022.09.14